유한호님의 댓글
유한호
우리나라도 농촌인구 고령화로 식량생산의 한계를 극복하고,
식량의 자급화를 서둘러야 할 때라고 봅니다.
시점 | 주요 내용 |
---|---|
2020. 5 | 시진핑 주석, 14억 인구를 보유한 국가는 농업의 중요성을 절대 무시하면 절대 안된다 발언 |
2020. 7 | 시진핑 주석, 농업과학연구원은 종자기술 개선을 통해 농민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|
2020 .10 | 정부기관지 신화사, <식량안보는 국가안보의 핵심 요소> 발간 |
2020. 11 | 정부기관지 인민일보, <중국 식량안보의 노선 견지>에서 14억 인구의 먹고 마시는 문제 해결은 국가의 가장 기본적인 해결과제이자, 근본적인 민생안건이다라고 강조 |
2020. 11 | 리커창 총리, 시진핑 주석의 지시에 따라 국무원의 각 유관 부처는 농업 현대화 및 식량안보에 대한 세부 정책 마련할 것을 지시 |
2020. 12 | 경제공작회의, 8대 중점 목표 중 종자와 경작지 문제 해결을 목표로 설정 |
자료: 인민망, 신화망, 인민일보, 미래에셋대우 글로벌주식컨설팅팀
회의주제 | 주요 내용 |
---|---|
식량생산 | 식량생산량 확보를 지방정부 책임에서 중앙정부와 공동책임으로 상향, 종자개량 지원 |
농경지제도 | 전국의 최소 쌀 경작지 18억 묘(1묘=243m2) 이상으로 유지, 농경지 보호 감찰을 통해 식량 공급 보장, 농경지의 타용도로 전환 사용 금지 |
양돈 | 양돈 생산량 확대 적극 추진 |
농촌 기초인프라 | 통신, 교통, 물류 등 농촌지역의 기초인프라를 확대하여 농민의 이주를 방지 |
농업 보조금 | 농업종사자에게 보조금을 지급하고, 최저 가격 보호제를 개선해 농민수입 확대 |
자료: 중국정부망, 미래에셋대우 글로벌주식컨설팅팀
우리나라도 농촌인구 고령화로 식량생산의 한계를 극복하고,
식량의 자급화를 서둘러야 할 때라고 봅니다.